함께 사는 세상

휴먼스토리 희망 나눔

누군가의 새벽을 밝혀줄 희망의 빛 ! 자세히보기

건강하고 젊게

초등학생도, 철학자도 함께 들을 수 있는 우주의 이야기:양자역학

thepresent선물 님의 블로그 2025. 6. 26. 09:07
반응형

 

사유의 길목에서 -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

 

 

우리는 보통

“나는 나!”라고만 생각하고 있죠.

 

 

이 세상엔

가 있고,

가 있고,

저 나무가 따로 있고,

 

저 별도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고 믿죠.

 

하지만.....

 

정말 그럴까요?

 

 

불교에서는 이렇게 말해요.

 

“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요.

눈에 안 보이지만, 실처럼 이어져 있다고 해요.”

 

이걸 ‘공(空)’이라고 부른답니다.

 

비어 있다는 뜻인데요.....

 

 

텅 빈 것이 아니라,

다 연결되어 있어서

 

어느것이라고,

딱 하나로 고정할 수 없다는 뜻이에요.

.

...

으음...

 

예를 하나 들어볼게요.

 

 

한 송이의 예쁜 꽃을 생각해 볼게요.

 

그 꽃은

스스로 혼자 피어난 게 아니에요.

 

그 꽃이 피기까지는

햇살이 있었고,

비가 내렸고,

벌이 와서 꽃가루를 옮겼고,

흙 속의 미생물들이 뿌리를 도왔어요.

 

그래서

그 꽃 한 송이 안에는

온 우주가 다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답니다.

 

 

우리 눈에는 안 보이지만,

솔직히

그 꽃은

이 우주의 모든 것들에

빚지고 있는 존재라고 할 수 있어요.

 

 

그리고

우리 역시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죠.

 

 

과학에서도 이런 이야기를 하는데요.

 

양자역학’이라는

조금은 어려운 말이 있어요.

 

그런데

그 안에는 이런 개념이 들어 있답니다.

 

“당신이 무엇을 보느냐에 따라,

세상의 모습이 바뀔 수 있다.”

 

 

예를 들어서,

누군가 당신을

 

‘따뜻한 사람’으로 바라보면

당신도 더 따뜻한 사람이 되어가고,

 

‘쓸모없는 사람’이라고 생각하면

진짜로 마음이 움츠러들게 되어지죠.

 

이런걸 ‘관찰자 효과’라고 불러요.

 

 

우리의 시선, 관심, 마음

세상을 바꾸는 힘이 있다는 뜻이죠.

 

 

그러니까,

나는 그냥

나 혼자 있는 게 아니고,

 

너도 그냥

너로 떨어져 있는 게 아니에요.

 

 

우리는 매 순간

보이지 않는 실로 이어져 있고,

 

 

그 실은

당신이 웃어 줄 때면

누군가가 위로를 받게되고,

 

당신이 우울할 때면

누군가는 또 이유도 모르게 울적해지는

신비한 연결의 끈이에요.

 

 

 

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 이 순간,

 

당신이 쉬고 있는 의자도

당신의 몸도

공기도

다 우주의 입자들이 모여서 만들어낸 것이거든요.

 

 

그러기에

지금 이 자리 자체도,

기적이랍니다.

 

 

당신이 존재하는 것,

숨 쉬는 것,

이 글을 읽고 있다는 것조차

이미 수많은 연결의 결과거든요.

 

 

그러니까

절대로 혼자라고 느끼지 마세요.

 

 

하늘은 항상 곁에 있어요.

 

 

당신의 몸 안에서,

당신의 마음 속에서,

당신이 뿜는 말 한마디 안에

온 우주가 함께 숨 쉬고 있으니까요.

 

 

 

이제 우리는 알수 있어요.

 

혼자 있는 게 아니라,

함께 연결되어 있다는 것.

 

 

이것을 알게 되는 순간,

세상이 조금 더 따뜻하게 느껴질것입니다.

 

 

그리고 그것이 바로,

당신이 지금 여기 살아 있다는 증거입니다.

 

 

나의 말이,

누군가의 길이 되고.

 

당신의 침묵이

누군가의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.

 

우리는 지금도

말 없는 대화 속에 살아 있습니다.

 

 

 

당신이 존재하는 것,

그 자체가

이미 우주의 고백입니다.

 

 

이 순간,

당신은

우주의 일부이자

우주의 마음입니다.

 

감사합니다.